목록이런저런 주저리 (105)
방구석lab
본 내용은 스케치 글이니, 밑 작업에 대한 이야기들이 숙지되셨다 생각하고 씁니다. 해당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무엇이 다른가_데생, 소묘, 드로잉, 에스키스, 스케치, 밑 그림 (tistory.com) 캔버스에 젯소_이유, 바르는 법, 주의 사항 (취미, 미대생) (tistory.com) 이 글은 캔버스 기준이며, 유화를 대상으로 씁니다. 그렇기 때문에 젯소칠을 다 하고 나서 스케치를 들어갈 때 하는 내용입니다. 제목에서 약간 어그로를 끌어봤지만, 저는 결론부터 보통 말하고 지나가니 결론부터 이야기하겠습니다. 유화나 아크릴을 스케치할 때 연필보다는 ㅅㅅ ㅅㅇㅍ은 수성 색연필을 추천합니다. 이제 그럼 그 이유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캔버스에 젯소..
*이번 글은 취미 분들을 중심으로 글을 씁니다. *미대생 분들은 읽으셔도 좋습니다. *예고 및 미대를 준비하시는 학생분들은 읽으셔도 상관은 없지만, 후학을 위해 알아만 두시길 바라겠습니다. (우리나라 입시 체제 안에서 이 내용이 그다지 쓸모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난번, 스케치나 드로잉에 대해서 썼습니다. 무엇이 다른가_데생, 소묘, 드로잉, 에스키스, 스케치, 밑 그림 (tistory.com) 무엇이 다른가_데생, 소묘, 드로잉, 에스키스, 스케치, 밑 그림 *글이 진행될수록 주관적 해석이 들어있습니다. 데생과 소묘는 같은 말입니다. 드로잉도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에스키스는 아이디어 스케치에 들어갈 수 있는 말입니다. 스케치와 onion7321.tistory.com 많은 분들이 스케치..

저는 나름대로 최근 블로그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가끔 놓칠 때도 있긴 하지만, 그래도 되도록 신경을 쓰려는 편입니다. 어느 날, 모월 모일, 유입 키워드에 이런 걸 발견했습니다. ※지금부터는 오로지 경험+주관적으로 풀어가는 내용이라는 점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화학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페인트 젯소를 화구에 발라도 되나요"라는 질문을 보자마자, 마음속에서 "아니요..."라는 마음이 솟구쳤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화구'가 뭘까...라는 생각을 짧게 갖긴 했는데 아무래도 '캔버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화구'는 그야말로 너무나도 포괄적인 의미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제가 이해한 바로는 '캔버스'라고 했을 때, 페인트 젯소를 바르지 않은 것을 추천합니다. 경험적으로는..

*글이 진행될수록 주관적 해석이 들어있습니다. 데생과 소묘는 같은 말입니다. 드로잉도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에스키스는 아이디어 스케치에 들어갈 수 있는 말입니다. 스케치와 밑그림은 같거나 비슷한 말입니다. 데생과 소묘, 드로잉은 채색 없이 그린 그림을 뜻합니다. 에스키스, 밑그림, 스케치는 시작 단계에 속한 그림을 뜻합니다. 보통 채색을 하기 전의 단계를 뜻 합니다. 조금 더 알아보시고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글을 계속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부터는 제가 그림을 그리면서 경험적인 해석으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일단 데생은 프랑스어에서 온 것이고, 소묘는 한자어, 드로잉은 영어입니다. 모두 같은 말입니다. (이 느낌은 마치 이두근, 삼두근을 두갈래근, 세갈래근으로 그리고 biceps, t..

먼저 읽고 오시면 이해하기 편한 내용 : 캔버스에 대한 이야기_①취미편 (tistory.com) : 취미로 유화를 선택하신 분들을 위한 캔버스 살 때 필요 용어 정리 캔버스에 대한 이야기_②미대생편 (tistory.com) : 서양화과 입학 전, 혹 1학년 정도 수준의 내용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여기로 : 미술_유화에 관심있는 분들을 위한 링크정리 (tistory.com) *취미와 미대생(입학 전, 새내기)들을 위해 같이 언급해 썼습니다. 글의 순서_ I. 젯소를 바르는 이유. II. 바르는 법. III. 주의사항. IV. 추천 *젯소는 유화든 아크릴이든 기본 중의 기본 작업입니다. *본 글은 유화 기준으로 쓰이긴 했지만, 캔버스에 아크릴 하시는 분들도 젯소를 바르면 더 좋습니다. 캔버스를 구매 혹은..
*본 내용은 "경험적 MBTI"라고 했는데, 개인적으로 MBTI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으며, 그저 이제까지 본 작업 방식들의 유형을 그저 MBTI의 P와 J유형을 빌려서 이야기하는 것이니, 재미로 즐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상당히 주관적임을 밝힙니다. 조금 지났지만, 그래도 아직까지도 꽤 유행하고 있는 MBTI 성격유형이 있다는 것을 젊은 분들이라면 다들 알 것입니다. 심지어 자신이 어떤 유형 인지도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혹시나 이곳에 오시는 육체와 마음의 나이의 갭이 점점 멀어지고 계시는 분들을 위해 짧게 설명을 하자면,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영어: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의 준 말로, 칼 융의 성격 유형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한 성격 유형 선호 지표..

어젯밤, 편안히 주무셨나요? 저는 어릴 때부터 잠귀가 엄청 밝아서 잠을 그렇게 잘 자는 스타일이 아니었지만, 오히려 나이가 들면서 잠귀가 어두워져서인지 조금 더 잘 자는 기분이 듭니다. 하지만, 세 살 버릇 여든 못 간다고 여전히 그렇게 숙면을 하는 스타일은 아니죠. 당연히 아침에 일어나는 것은 힘듭니다. 특히 학교 다닐 때(초, 중, 고, 대)는 지옥이나 다름없었네요... 그래도 그나마 제가 잘자고, 그나마 잘 일어나는 방법을 깨쳤었는데, 그 방법이 꽤 과학적으로 맞았구나 싶어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일단 제가 선택한 방법은 첫째, 수면시간을 파악하는 것이었습니다. 즉 얼마큼 자야 그나마 눈이 잘 떠지는지를 체크했었습니다. 둘째, 알람은 부드러운 곡으로, 절대 질리지 않을 만한 곡을 선택해서 알람음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