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화 (20)

방구석lab

유화 그림 위에 바르는 것_후 처리제_바니쉬 편_(취미◎, 미대생○)

며칠 전부터 가아끔씩 유입이 되는 키워드가 있어 씁니다. 그 키워드는 바로, "유화 그림 위에 바르는 것"입니다. 처음에 도대체 무엇을 검색하고 싶었던 걸까 했습니다. 그림을 손 놓은 지 좀 되기도 했고, 또 저는 이걸 안 바릅니다. 그래서 기억을 잘 못했던 것 같습니다. 유화를 다 완성시키고 바르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바니쉬 류' 입니다. 여기서는 취미를 하시는 분들을 위해 적기 때문에 복잡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결론부터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입문 및 취미분들은 굳이 안 해도 됩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1. 복잡합니다. 2. 귀찮습니다. 3. 가격은 착하지 않습니다. 1. 알아야할게(숙지해야할게 많기 때문에) 복잡해집니다. 2. 이 과정을 진행하려면 귀찮습니다. 3. 말 그대로 ..

유화 크랙가지 않게 하는 법_정리

어제 유입 링크 중 이런 게 있었습니다. "유화 크렉가지 않게 하는 법" 솔직한 심정으로 도대체 뭘 어떻게 하셨길래... 였습니다. 왜냐면 유화는 배운 데로만 하면 크랙 가는 일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술_유화에 관심있는 분들을 위한 링크 정리 (tistory.com) 위 링크에 올려져있는 글에도 꽤나 크랙을 몇 번 이야기했지만 해당 내용에 들어가는 거라 이 글은 크랙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는 글로 쓰겠습니다. 1. 젯소 바를 때 캔버스에 젯소_이유, 바르는 법, 주의 사항 (취미, 미대생) (tistory.com) 여기에 올린 내용입니다. 요약하자면, 어느 글들에서 젯소를 말릴 때, 드라이어기나 선풍기 등을 쓰라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 마세요) 자연 건조하세요. 중요하니까 한 번 더 말하겠습니다..

붓털은 빠집니다_유화, 아크릴, 수채화 등 붓털

오늘 새벽에 유입된 로그 "유화 붓털 빠짐"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빠집니다." 그런데 여기서 검색하신 분의 붓의 털이 얼마나 빠지는지 모르겠습니다. 새붓이더라도 붓모 한 두 개 정도는 빠질 수 있습니다. 흔한 일은 아니지만 간혹 있습니다. 좀 쓰던 붓이라도, 가끔 가다가 붓모 한개 정도 빠지는 건 흔한 일입니다. 붓질(칠) 하다가 그림 위로 털이 빠지면 소위 빡친다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보통 붓으로 건질 때도 있는데 안되면, 손으로 잡아 떼야하는데 그림에 붙어서 잘 떨어지지도 않습니다. 손은 점점 더러워지고 게다가 잘 못하면 그려놓은 부분이 지저분해져서 기분이 몹시 좋지 않아 집니다. (그래서 빡침) 새붓이, 혹은 그림을 그리다가 붓털이 한두개 빠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

유화가 안 마를때_(취미)_추천하는 방법과 추천하지 않는 방법

오늘 유입 링크를 보면서 "유화가 안 마를 때"라는 키워드를 봤습니다. 생각보다 많아서 여러 개라서 당황했습니다. 많이 급하셨나..? 빠르게 시작하겠습니다! 추천하는 방법 : 기다림의 미덕. 추천하지 않는 방법 : 속건제; 시카티브, 리퀸을 사용.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마음이 급한건 이해가 갑니다. 빨리 완성하고 싶거나 집에 빨리 가져가고 싶은데 마르지 않으면 답답하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를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하나의 그림을 완성해 가는 것이라 생각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추천하지 않지만 급하신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자면, 속건제; 시카티브나 리퀸이라고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이야말로 "화학적"으로 유화를 빠르게 건조시킵니다. 그런데 여기서 '빠르게'라는 말은 여러분..

유화 물감이 마르지 않는 이유

21년 8월 11일 수요일, 어제, 유입 로그를 보다가 재밌는 검색어를 발견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유화 물감이 마르지 않은 이유"였습니다. 유입 로그의 경우 이 부분을 클릭하면 (다음) 통합 앱에서 어떻게 나오는지 보여줍니다. 한 마디로 검색어를 똑같이 입력하는 것과 같습니다. 여기서 다음으로 검색되는 이유는 이 유입 로그로 들어오신 분이 다음에서 검색하셨기 때문입니다. 클릭을 해보니 관련된 설명이 없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먼저, 정확하게는 마르지 않는 것이 아니라, "건조 속도가 느린 것"입니다. 그러면 질문을 바꿔서, 유화물감이 "건조 속도가 느린 이유"에 대해서 세상 단순하게 결론을 이야기하겠습니다. 그것은 증발 속도 때문입니다. 물과 비교를 했을 때 기름은 상당히 증발 속도가 느립니다...

유화_초벌 할 때 이것!_ㅇㅋㄹ(취미○, 미대생◎)

함께 보면 좋은 글: 유화(아크릴)_스케치는 연필보다 이것!_ㅅㅅㅅㅇㅍ (취미○, 미대생◎) (tistory.com) 유화(아크릴)_스케치는 연필보다 이것!_ㅅㅅㅅㅇㅍ (취미○, 미대생◎) 본 내용은 스케치 글이니, 밑 작업에 대한 이야기들이 숙지되셨다 생각하고 씁니다. 해당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무엇이 다른가_데생, 소묘, 드로잉, 에스키스, onion7321.tistory.com 바로 결론부터 이야기하겠습니다. 유화 초벌을 들어갈 때 '아크릴'을 사용합니다. 물론 아크릴이 있는 사람의 경우 쓰면 됩니다. 취미의 경우 아크릴을 갖고 계시는 분도 갖고 계시지 않으신 분도 계실 텐데, 굳이 살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료를 갖고 있는' 하에 말씀드리는 것이기 때..

유화(아크릴)_스케치는 연필보다 이것!_ㅅㅅㅅㅇㅍ (취미○, 미대생◎)

본 내용은 스케치 글이니, 밑 작업에 대한 이야기들이 숙지되셨다 생각하고 씁니다. 해당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무엇이 다른가_데생, 소묘, 드로잉, 에스키스, 스케치, 밑 그림 (tistory.com) 캔버스에 젯소_이유, 바르는 법, 주의 사항 (취미, 미대생) (tistory.com) 이 글은 캔버스 기준이며, 유화를 대상으로 씁니다. 그렇기 때문에 젯소칠을 다 하고 나서 스케치를 들어갈 때 하는 내용입니다. 제목에서 약간 어그로를 끌어봤지만, 저는 결론부터 보통 말하고 지나가니 결론부터 이야기하겠습니다. 유화나 아크릴을 스케치할 때 연필보다는 ㅅㅅ ㅅㅇㅍ은 수성 색연필을 추천합니다. 이제 그럼 그 이유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캔버스에 젯소..